사계절 중 가장 싫어하는 계절을 꼽으라면 나는 주저 말고 가을이라 말한다. 가을이 주는 스산함과 쓸쓸함, 그리고 외로움 - 절대 내가 솔로이기 때문이 아니다 - 이 사람을 유약하고 우울하게 만든다. 그리고 가을바람이 주는 엄청난 무언가가 마음을 참 공허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가을의 시간 동안 늘 우울하게 보내느냐고 물어온다면 아니라고 단숨에 대답할 수 있다. 적절한 낱말 하나가 옹색한 글을 살리듯 회색 빛의 가을은 음악이 살려준다고 할 수 있다. 가을은 음악의 계절이다. 그리고 가을은 이적의 계절이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가을은 나의 계절이다. 


흔히들 이적을 최고의 싱어송라이터로 칭하지만, 나에게는 대한민국 최고의 가수인 이적. 저물어가는 가을 날 그렇게 이적이 새로운 앨범을 발표했다. 가을이 나를 고독하게 만든다는 점은 어찌 캐치했는지 이 계절, 나를 위로한 듯한 앨범명 [고독의 의미]가 참 좋았는데, 거기에 역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영어는 찾아볼 수 없는 기가 막힌 순수 한글로만 된 트랙 제목들, 고독의 의미 그 자체를 상징하는 듯 의미심장한 앨범 커버 아트웍(Art Work)까지 들어보기도 전에 가슴이 두근두근했다.


타이틀 곡 ‘거짓말 거짓말 거짓말’은 연인에게 버려진 사람의 실망과 자책 그리고 원망이 담긴 곡이다. ‘Rain’이 생각나는 묵직한 피아노 반주 그리고 낮게 깔리는 이적의 쓸쓸한 목소리가 곡의 분위기를 더 깊게 만든다. 다른 세션 없이 피아노 하나만으로도 곡이 꽉 찬 느낌을 줄 수 있는 건 오직 이적이 가진 재능이다. 이어 고독의 한 가운데에 서있는 나에게 보내는 듯한 ‘누가 있나요’는 있는 그대로 나의 주변에 누가 있을까 질문을 던지지만 한편으로는 결국 아무도 없다라는 것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자조적인 곡이 아닐까 생각한다. 세 번째 트랙에서 조금 침체된 분위기를 반전시킨다.  ‘사랑이 뭐길래’ 라는 조금은 무거워 질 수 있는 주제를 경쾌한 리듬과 타이거 JK의 힘찬 랩으로 풀어냈다. 후반부의 트럼펫소리가 인상적인 ‘이십년이 지난 뒤’, 이적이 뜨거운 여름의 록 페스티벌을 떠올리며 만들었다는 ‘뜨거운 것이 좋아’ 그리고 경쾌함 뒤에 숨어있는 슬픈 가사의 아이러니한 조화가 돋보이는 ‘숨바꼭질’ 모두 정성을 기울여 만들어진 곡임에 틀림없다. 가장 인상 깊게 들었던 곡은 정인과 함께 한 ‘비포 선라이즈’이다. 실제 이적이 가장 좋아하는 –혹은 많은 이들이- 사랑영화인 <비포 선라이즈>의 느낌을 담았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20세기 최고의 듀엣곡이라고 생각하는 ‘Love always finds a reason(By Glenn Medeiros and Elsa)’의 달콤한 분위기를 그래도 가져가되 이적과 정인의 파워풀한 보컬을 더해 성숙한 느낌을 만들어 낸 값진 트랙이다. 마지막 트랙이자 이 앨범의 이름이기도 한 ‘고독의 의미’를 통해 옆에 누군가 있고, 없고에 따라 고독을 느끼고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님을, 삶이란 고독 그 자체임을, 결국 죽을 때까지 함께 해야 하는 것임을 잔잔한 이적의 보컬로 마무리 짓고 있다. 


잠시 다른 얘기를 하자면, 나는 마음 속에 이적을, 그리고 그의 목소리를 오랜 시간 품어왔다. 마치, 이적을 내가 누누히 말하는, 죽기 전에 라이브 무대를 꼭 보고 싶은 뮤지션과 같은 선상에 놓았다. 그렇게 누누히 말하던 뮤지션은 Al Green이나 George Clinton같은 거장일텐데 말이다. 2009년 그랜드 민트 페스티벌에서 이적의 라이브 무대를 볼 수 있었다. 칵테일파티효과처럼 주변의 다른 사람들의 환호성으로 가득찼던 공연장에서 난 모든 감각이 이적의 무대로 향하고 있었다. 그 날 그 때는 아직까지 선명하다. 그 때의 그 떨림은 아직까지 살아있다. 


여느 인간이 고독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단 말인가. 인간은 고독하기 위해 살아가는 것일텐데 말이다. 가을이 나를 고독과 외로움, 그리고 좌절과 절망의 심연에 빠뜨리고 있던 찰나 바람을 타고 사뿐이 날라와 내 옆에 앉은 이적이 전달해주는 고독의 의미는 꽤 괜찮았다. 적어도 이 앨범은 '왜' 라는 궁금증을 없애주기에 충분했다. 왜 나만, 왜 지금, 왜 하필, 사실 따질 필요가 없다. 억울함이 사라졌다. 어짜피 모두 다 그렇게 사니까. 

Posted by shasha kim :



하하하하. 

신박한 아이디어에 보통 입이 떡 벌어져 끊임없이 '대박'을 외치기 일쑤인데, 이번에는 웃음부터 나왔다. 

퍼렐 윌리암스가 Get Lucky 이후 잠잠하다 했더니, 정말 웃음을 절로 짓게 만드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돌아왔다.


애니메이션 슈퍼배드2 OST 곡으로 유명해진 Pharrell Williams의 Happy. 

그리고 24시간의 행복이라는 뭔가 알쏭달쏭한 제목을 가진 Happy의 뮤직비디오. 






하하하하하하하. 

24시간동안 퍼렐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Happy곡에 맞춰 춤을 춘다. 

매 시간마다 다른 사람들이 어찌나 행복한 표정으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지 볼만하고,

매 시간마다 다른 옷을 입고 나오는 퍼렐의 모습도 볼만하며,

중간 중간엔 유명인들도 등장해 춤을 추기 때문에 참 재밌는 뮤직비디오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절대 지겹지 않은 노래가 관건인데, 퍼렐 목소리라는 강점도 있지만 노래 그 자체로도 지겹지 않고 듣기 편한 듯 싶다. 

물론 가사도 정말 좋다. 뮤직비디오를 보면서 입을 귀에 걸고 같이 흔드는 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4시간의 행복이라니, 오늘 하루종일 틀어놓을 생각이다. 





오피셜 뮤직비디오가 아닌 24시간동안의 다른 영상을 보고 싶으면 http://24hoursofhappy.com/ 여기서 보면 된다. 

지미 키멜, 타일러, 스티브카렐, 제이미폭스 등 낯익은 사람들도 나오니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 



"Happy"


[Verse 1:]
It might seem crazy what I’m about to say
Sunshine she’s here, you can take a break
I’m a hot air balloon that could go to space
With the air, like I don’t care baby by the way

[Hook:]
Because I’m happy
Clap along if you feel like a room without a roof
Because I’m happy
Clap along if you feel like happiness is the truth
Because I’m happy
Clap along if you know what happiness is to you
Because I’m happy
Clap along if you feel like that’s what you wanna do

[Verse 2:]
Here come bad news talking this and that
Yeah, give me all you got, don’t hold back
Yeah, well I should probably warn you I’ll be just fine
Yeah, no offense to you don’t waste your time
Here’s why

[Hook]

[Bridge:]
Happy, come on, bring me down
Happy, come on, bring me down
Love is too happy to bring me down
Come on, bring me down
I said bring me down
Come on, bring me down
Love is too happy to bring me down
Come on, bring me down
I said

[Hook x2]

[Bridge 2:]
Bring me down… can’t nothing…
Bring me down… your love is too high…
Bring me down… can’t nothing…
Bring me down, I said (let me tell you now)

[Hook x2]


Posted by shasha kim :


그룹명 <Miracles of Modern Science>에서부터 알 수 있는 독특함,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이 밴드는 흥미로움 투성이다. 

처음에 접하게 된 건 유투브 - 나는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꼭 유투브와 함께 한다 - 에서 Daftpunk의 Get lucky Cover 동영상들을 하나씩 들어보고 있을 때였다. 나는 원곡은 물론이거니와 특별히 유투브 커버 아티스트가 가진 각자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곡을 재해석한 커버송들을 좋아한다. 어쨋든, 커버송들을 하나씩 살펴보다가 작은 영상 썸네일에서부터 풍겨져나오는 무시무시하게 독특한 이 영상을 클릭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룹명도 '현대과학의 기적' 이라니. 




뭔가를 보고 입이 떡-하니 벌어지는 일을 최근엔 겪을 일이 없었는데, 정말 간만에 이 영상을 보고 입이 떡-하니 벌어졌다.
들고 있는 악기에서 한 번 웃음, 영상 구도와 촬영기법에서 또 한 번 웃음, 연주와 곡 해석에서 정말 웃음이 터질 수밖에 없었다. 

Miracles of Modern Science는 영상에서 보는 것처럼 현악기로 구성된 밴드다. 굳이 장르를 따지자면 "포스트락(Post-rock)이라고 해주면 좋겠단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두명의 멤버가 처음 만들었고, 이후 페이스북 등을 통해 다른 멤버들을 모집하여 꾸려지게 되었다. 클래식한 현악기 4중주와 인디락과의 조화, 발상의 전환 시대라더니, 대단하다. 과거라면 상상해보지 못한 것들을 실제로 시도하고 성공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참 나도 많은 자극이 될 수밖에 없다. 

프린스턴 대학을 졸업하고 각자 풀타임잡으로 일을 하는 와중에도 밴드활동을 통해 2008년 처음 EP 'Miracles of Modern Science'를 발표했고, 그 당시 여기저기서 좋은 반응을 많이 얻었다고 한다. 이후, 2011년 첫번째 데뷔앨범 'Dog Year'을 발표했는데, 이름이 알려지게 된 건 유명곡들을 커버한 동영상을 유투브에 게시하고 나서부터라고. 

멤버로는 Evan Younger(double bass/lead vocals), Josh Hirshfeld(mandolin/vocals), Kieran Ledwidge(violin), Geoff Mcdonald(cello) 그리고 Tyler Pines(drums) 이렇게 5명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런데, 최근 드럼을 담당하는 멤버가 밴드활동을 그만둔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나저나, 아우, 리드보컬하는 저 남자가 좀 귀여워야지 또. 헤헤. 드럼치며 노래부르는 김반장은 봤어도 콘트라베이스연주하며 노래부르는 사람은 또 처음이네 그려.

최근에는 미국 전역에서 투어를 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발표한 싱글 곡 'Dear Pressure'도 진짜 최고다. 
연주도 연주인데, 뮤직비디오 영상 누가 찍는지 진짜 별거 아닌 것 같은데 굉장히 기발하고 자꾸 생각난다. 재미도 있고. 



그리고 라이브 영상. 흥겨운 분위기가 진짜 가득하다. 



또 하나 좋은 곡, 'The Singularity' 곡 진행 진짜 엄청 특이하다. ㅋㅋㅋㅋㅋㅋㅋ



그런데, 브룩클린에서 주로 활동한다는데, 왠지 길거리에서 본 것같기도 하고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봤든 안봤든, 이미 내 맘속에 입주. :) 




* Miracles of Modern Science Official Homepage > http://www.miraclesofmodernscience.com/

Posted by shasha kim :


손꼽게 좋아하는 랩퍼 Evidence와 프로듀서 The Alchemist의 새로운 싱글, Step Masters.

둘이 Step Brothers인거 이번에 처음 알게 됬다. 어쩐지 닮은듯 안닮은듯. 물론 Evidence가 좀 더 내 스타일이지만. 호호호. 






오랫동안 같이 음악해오긴 했지만, 드디어 드디어 드디어 드디어! 이번에 앨범을 발표한다. 신난다. 

내년 1월부터 전체 곡을 다 들을 수 있고, 지금은 몇 곡만 공개된 상태다. 

<Lord Steppington> Tracklist

1.) “More Wins”

2.) “Dr. Kimble”

3.) “Byron G” f/ Domo Genesis & The Whooliganz (produced by Evidence)

4.) “Legendary Mesh”

5.) “No Hesitation” f/ Styles P

6.) “Swimteam Rastas”

7.) “Mums In The Garage” f/ Action Bronson

8.) “See The Rich Man Play” f/ Roc Marciano

9.) “Banging Sound” f/ Fashawn

10.) “Step Masters”

11.) “Tomorrow” f/ Rakka Iriscience & Blu

12.) “Draw Something” f/ Oh No

13.) “Buzzing Away”

14.) “Just Step”

Posted by shasha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