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ston and Warhol

 

New York Diaries 를 가끔 읽는다. 

과거의 오늘, 누군가의 일상을 읽는다는 게 이렇게 재밌을 줄이야. 나는 특히 Andy Warhol과 John Sloan의 일기가 좋다.

 

 

OCTOBER 11, 1908

Today I finally got at a drawing for the American Press story. In the evening, I had a desperate attack of nervous "inability" I'll call it for lack of a better wordㅡjust seemed incompetent to draw anything. I suppose it's the modern and American trouble, "neur-asthenia." -JOHN SLOAN


DECEMBER 3, 1978

Halston and Stevie Rubell gave Bianca a beautiful fur coat. Dr.Giller paid for the collar, and Halston and steve paid for the rest of the coat. It cost $30,000 or $40,000. I'm surprised they didn't ask me to give her an arm. (laughs) And Halston said, "I think everyone should have furs, jewels, and Andy Warhol Paintings." -ANDY WARHOL

 

OCTOBER 30, 1985

I broke something and realized I should break something once a week to remind me how fragile life is. It was a good plastic ring from the twenties. -ANDY WARHOL

 

JULY 1, 1986

Arnold Schwarzenegger was having a party for the Statue of Liberty at Cafe Seiyoken and I wasn't even invited. And I wasn't invited to Caroline Kennedy's wedding, either. -ANDY WARHOL


JULY 22, 1986 

I've been watching this stuff on Fergie and I wonder why doesn't the Queen Mother get married again. -ANDY WARHOL




Bianca Jagger and Warhol.




Posted by shasha kim :

 


 

흔히 사회에 나오면 좋고 싫음이 분명한 사람이어도 조금 감정을 숨길 줄 알아야 하고,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감정에 너무 솔직하게 대하면 인맥관리가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가면을 쓰기도 하고 입 발린 소리를 하라고도 한다. 

나도 그렇게 하려고 했다.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든지 내가 호의를 베풀고, 잘해주고, 괜히 칭찬하고 그러면 그 관계가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속마음이 그게 아니어도. 

 

그런데 최근에 하나 깨달은게, 내가 남을 싫어하는 걸 굳이 숨길 필요가 없단 생각이 들고, 좋은데 좋은 티를 안낼 필요도 없다고도 생각이 들었다. 나를 알게된 사람들도 결국엔 나를 좋아하는 편으로 남아있는 사람, 나를 싫어하는 편으로 남아있는 사람, 아니면 이것도 저것도 아닌 사람 뭐 알아서들 자기들 감정에 따라 나를 대하고 있지 않나. 

 

나도 어렸을 적부터 관계라는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웃고, 울고, 고민하고, 마음 고생도 많이 했었다. 이 세상 어느 누구도 '좋은 관계'에 대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는데 내가 그 정의를 내리고 싶어서, 나에게 관계는 너무 어렵고도 행복하기도 했던 것이어서 도대체 뭘까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나이가 쪼금 먹은 지금 관계에 대해 오랜시간 고찰을 하지는 않아도 여전히 미해결문제로 남아있다. 

 

결국 감정에 솔직할 수 밖에. 내가 상대방을 향한 감정에 솔직하게 대하는게 결국엔 나에겐 더 편한 것 같다. 알량한 자존심 때문에 좋아도 좋은 내색하지 않았고, 싫은데 꼴 같지않게 착한척 하느라 싫은티를 못내면서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생각해왔던 날들, 그리고 그런 사람들 지금 결국 내 옆에 없잖아. 어짜피 들통이 날 관계였다면 애초부터 감정에 솔직하게 상대방을 대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야 나도 상처를 안주고, 상대방으로부터 상처도 받지 않을테니까. 

'DAILY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크 혼령 쓴 크리스 에반스(Chris Evans).  (0) 2014.04.04
생각지도 못한 사람이 꿈에 나오면 그 사람이 좋아진대요.  (0) 2014.02.02
그향수  (0) 2013.05.12
첫경험  (0) 2012.09.07
억지로 생각하기.  (0) 2012.08.06
Posted by shasha kim :

흑인음악을 좋아하면서 내가 딱 하나  - 남들이 들으면 조금 웃길만한- 자부심이 있다면, 아마 내가 대한민국에서 Rahsaan Patterson을 가장 좋아하는 팬이라는 것이다. 흑인음악을 좋아하고 특히 소울 음악을 즐겨듣는 리스너 중에 라쌴을 알고,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지는 몰라도 나처럼 환장한 팬은 없을거라 생각한다. 그것도 여자팬으로서, 이렇게 미치도록 환장하는 팬은. 

Rahsaan Patterson의 모든 것을 좋아한다. 당연지사 그의 앨범은 단 한곡도 안 외우는 곡이 없고, 외모도 좋아하고 패션센스도 좋아한다. 멋드러진 수염도, 몸에 새긴 문신도, 예쁜 눈까지 다 좋다. 무엇보다 그, 어떤, 누구도 라쌴 패터슨이 양말수집가(Socks Collector)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진짜 없을 것이다. 

나에겐 기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그 기회, 그렇게 오랜시간 남들 몰래 좋아하던 라쌴 패터슨의 목소리를 라이브로 듣고 그의 얼굴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그것도 뉴욕에서 말이다. 기회가 많은 뉴욕이라해도 어쩜 그렇게 딱 타이밍이 맞게 내가 있을 때 라쌴의 공연이 잡혔는지, 감사할 따름이다. 


2013년 6월 9일 일요일, 한번쯤 꼭 가보고 싶었던 B.B.King 클럽에서 블루노트 재즈 페스티벌 때 맞춘 라쌴 패터슨의 공연이 있었다. 

*블루노트 재즈 페스티벌(Blue Note Jazz Festival)은 매년 6월 뉴욕시티에서 열리는 재즈 페스티벌이다. 유명한 재즈클럽인 blue note를 포함해서 뉴욕 전역에 있는 유명한 재즈클럽에서 많은 재즈 아티스트가 공연을 한다. 평소에 보지 못했던 재즈 공연을 싼 가격에 볼 수 있다. (http://bluenotejazzfestival.com)


두둥- 포트 오쏠리티 터미널을 가야해서 지나치는 곳 타임스퀘어에 위치한 B.B.King 재즈클럽. 주말 저녁이 되면 이 앞에 길게 늘어선 줄을 보고 나도 가고 싶다...를 외쳤었다. 왠지 혼자는 자신없었거든.


Rahsaan Patterson의 공연이 있는 날, 간판에 크게 써진 그의 이름을 보자마자 두근두근. 




앞에서 사진도 찍고. 아따 길다. 





안으로 들어왔다. B.B.King 클럽은 물론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재즈클럽이지만, 레스토랑 및 바로 이용해도 된다. 


여기서 파는 Grilled steak 맛있다고 들었는데, 저녁을 먹고 가서 먹지 못했다. 나는 꼬뜨 뒤롱 와인 한잔, 친구는 사무엘아담스 한 잔.



내가 놀란 것 중 하나, 동양인이 나랑 친구 둘밖에 없었다... 


보통 흑인 뮤지션은 흑인들이 좋아하는 건 알았지만, 이렇게 흑인 천지일줄은 몰랐다. 


시작하기도 전에 그루브 타던 언니 오빠들이 생각난다. 





공연이 시작되었다. 늘 그렇듯 주인공은 모두가 가장 기대치가 높아졌을 때 짜잔- 하고 나타나는 법. 


오프닝 무대로 Monet라는 여성 보컬리스트의 짧은 공연이 있었다. 


목소리가 정말 좋았다. 곡 중간중간마다 플룻을 연주하기도 했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플룻소리를 선호하지 않음에도 오묘하게 곡과 어우러지는 플룻소리가 좋았다. 







그리고 나의 오빠 Rahsaan Patterson 등장!! 


그의 가장 최근 앨범인 'Bleuphoria'의 몇 곡으로 공연 시작을 알렸다. 



아... 목소리... 라이브로 죽기전에 꼭 듣고 싶었어요... 정말, 눈물이 앞을 가렸다. 


(백스트리트 보이즈 내한공연을 갔을 때 심장이 터질 것 같았던 그 때 그 느낌이 솔솔)





올해소 40살이 된 나이지만 여전히 멋진 패션과 수염! 내가 진짜 좋아해. 





좋은건 크게 크게, 1



내가 정말 좋아하는 곡인 Friend of mine, Can't wait a minute에 이어


Spend the night이 나왔을 때는 정신줄을 놓고 따라불렀다. 




Spend the night 동영상이 너무 커서 안올라간다.ㅜㅜ 


나의 신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뒤쪽 중앙으로 왔다. 




좋은건 크게 크게, 2


공연에 푹 젖어있는 라쌴 패터슨, 멋지다 멋지다 멋지다! 




마지막 앵콜곡!!!!!!!!!!!!!!!!! 그라췌! 


정말 많은 사람들이 따라부르는 Stop breaking my heart !! 


정말 행복했다! 





공연이 끝났다! 두시간동안 꿈속에 있다가 나온 것 같은 기분이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싱어의 라이브를 들을 수 있다는 건 정말 기쁜일이다. 


스티비 원더의 엄청난 팬이기도 한 나는 스티비 원더 내한 공연 때 처음시작할 때 부터 끝날 때까지 울었으니까, 그토록 기뻤으니까! 


그런 기분이 또 들었다. 




같이 갔던 친구는 나 때문에 이번에 라쌴 패터슨을 알게 되었고 곡 한번도 안들어봤었는데도,


라이브 공연 보고 반했다고 한다. 나도 그렇지만 데리구 간 친구도 잘 봤다니 다행이고 또 다행이다. :) 





공연이 끝난 후, 1층에서는 라쌴 패터슨의 사인회 겸 포토타임이 있었다.


공연도 모지라 가까이서 볼 수 있다니 진짜 눈을 비비고 또 비비고. 


사진을 보고 음악을 들으며 죽기전에 볼 수 있겠지, 했던 사람이 눈 앞에서 왔다갔다 하고 있으니 하... 





그래서 이렇게 같이 찍었다! 얼굴이 나보다도 작으신 우리 라쌴오빠... 


아참, 라쌴 패터슨은 이미 오래전 커밍아웃한 게이이기도 하다. 아쉽다. 왜 멋있는 사람들은 임자가 있거나 게이일까 왜때문에?


애니웨이, 늘 나에게 첫번째인 소울 싱어는 라쌴 패터슨을 직접 볼 수 있어 행복했던 6월의 어느날이었다. 




Rahsaan Patterson에 대해 간략히 소개를 하자면, 


1974년 뉴욕 브롱스에서 태어났고, 80년대 <The Kids>라는 티비 쇼의 "Kids Incorporated" 멤버로 활동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흔히 알고 있는 브리트니 스피어스,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어릴 적 활동했던 미키마우스클럽같은 개념으로 보면 된다. 


카랑카랑한 어린 목소리로 어찌나 노래를 잘 부르는지, 그리고 어린 애가 무슨 감정이 그렇게도 깊은지, 감탄에 또 감탄. 아무래도 이 사람은 노래를 부르려고 태어난 사람같다. 





1997년도에 첫 앨범을 발표하고 가장 최근 2011년엔 다섯 번째 앨범을 발표했다. 뭐니뭐니해도 데뷔앨범에서 그가 하고자 하는 음악 스타일을 엿볼 수 있다. 그 색깔이 진득허니 묻어난 트랙은 개인적으로 4번 So fine, 13번 Ain't no way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R&B라는 장르로 국한시키기에는 그 이상의 것을 보여준다. 나는 네오소울의 시작을 알리고 이끌었던 뮤지션으로 흔히 지목되는 D'Angelo 보다는 라쌴패터슨이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디안젤로의 <Brown Sugar(1995)>가 더 일찍 나오기 했지만 진정한 네오소울의 성격을 따지자면 라쌴패터슨의 음악이 좀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2집 <Love In Stereo>도 최고고 3집 <After Hours>에 이어 4집 <Wines & Spirits>에서 히트곡이 많이 나왔다. Cloud 9이나 Feels good 그리고 Stop breaking my heart까지! 한 곡 한 곡이 가슴을 울린다. 그러다가 2011년 4년만에 발표한 앨범 <Bleuphoria>이 발표되자마자 듣고 나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음악 성격이 정말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라쌴이 몇 장의 앨범을 작업하면서 자기가 정말 하고자 하는 음악이 이런 것이다 라는 걸 5집에서 여실히 드러냈다고 본다. 아무래도 흑인 음악에도 일렉트로닉 사운드가 유행하고 있던 점을 고려해서인지는 몰라도 굉장히 많은 전자음을 사용했다. 굉장히 실험적이고 몽환적이다. 전자음을 많이 써서 대중적이라고 생각할지는 몰라도 여전히 대중적이진 않다. 그럼에도 쉽게 들리고 처음부터 마지막 트랙에 이르기까지 전달하는 오묘한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정확히 이 앨범을 돌려서 들은지 정확히 10번 째 되었을 때 비로소 아! 하며 감탄을 했으니 말이다. 


앨범 발표할 때마다 미국 내 R&B 차트 상위권에 많이 올라 인기도 많은 것도 사실이고 서서히 국제적으로도 이름이 널리 알려진 건 사실이지만, 모두가 다 아는 맥스웰이나 디안젤로처럼 인기스타였던건 아니다. 하지만 음악계에서 인정하는 명실상부한 소울 아티스트로서는 많은 인정을 받았다. 앨범의 퀄리티도 높고 어릴 적 연예계에 입문했음에도 대중적으로 타협하지 않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음악성을 고고히 지켜가며 하는 모습이 정말 멋지다고 생각한다. 그게 내가 라쌴 패터슨을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겨울이 되면 늘 생각나는 Rahsaan Patterson. (특별히 크리스마스 시즌 앨범을 발표한 적도 있다. <The Ultimate gift>) 


언젠가 또 만나요 오빠!



Posted by shasha kim :


그렇다. 영하로 떨어진 기온과 패딩을 입고 목도리를 칭칭 두르게 된 겨울이 왔다. 

나는 사실 사계절 중 가장 싫은 계절을 꼽으라 하면 주저말고 겨울이라 할터인데 - 일년 12달 중 6개월은 추운 것 같으니까, 난 추위 못 견디니까 - 그래도 겨울은 가을처럼 멜랑꼴리한 기분은 주지 않고 오히려 설레게 하는 재주는 있다. 아직 12월도 안왔는데 길거리에 연신 틀어대는 캐롤송과 크리스마스 트리, 조명들 때문에 강제 연말을 느끼고 있는 게 한 몫한다.

빌리조엘 포스팅에도 썼지만, 특정한 계절에 맞는 음악 장르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겨울에는 아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나는 재즈 음악을 들으라고 할 것이다. 스타벅스에서는 11월부터 벌써 크리스마스 송을 틀어주고 있다. '아니, 도대체 왜 벌써?' 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그래도 설레는 기분이 더 크게 들었던 건 나만 아는 비밀. 재즈 음악에 취해 할 일 못하고 음악에 맞춰 발만 튕기다가 온 것도 함정.  

그래서 내가 좋아하는 재즈 음악 몇 곡을 추천하고 싶다. 개인적으로는 답답하고 힘든 겨울이 될 수도 있지만 내가 좋아하는 음악 들으면서 그런 힘든 것들 다 날려버려야지. 그게 내가 세상에서 제일 잘하는 거니까. 






#1. My Favorite Things by John Coltrane

사운드오브뮤직 OST 중 가장 좋아하는 My favorite things를 존 콜트레인의 섹소폰연주로 재해석했다. 존 콜트레인의 섹소폰 연주는 언제 들어도 황홀하기 이를데가 없다. Blue Train 같은 앨범, 다시 나올 수 있을까? 이런 천재들은 왜 다 단명하는걸까. 





#2. Take Five by David Brubeck Quartet

재즈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절대 모를 수 없는 David brubeck의 Take five. 나는 진짜 정말, 눈물나게, 무지막지하게 좋아하는데, 특히 이 영상은 더 좋아한다. 초반 데이빗 아저씨의 피아노 연주 나오다가 시작된 take five의 반주에서 소름한번, 섹소폰 솔로에서 또 한 번, 그리고 하이라이트 드럼솔로까지... 대박이다. 아니, 다 노인네들이잖아. 음악도 음악이지만, 이 영상 정말 강력추천이다. 





#3.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by Tony Bennett

가장 좋아하는 재즈 보컬리스트, 단연 토니 베넷 할아버지. 많이 울었다. 이 할아버지 앨범 들으면서 추운 겨울날 이불 뒤집어 쓰고 방에서 많이도 울었다. 뭐 특별히 슬픈일도 없고 그렇다고 기분 좋은일도 없는데, 이 목소리가 사람을 울보되게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I left my heart in san fransicso 이 곡을 좋아한다. 첫 소절에서 '~인 샌프란↗시스코↘~' 할 때 눈물도 같이 흐른다. 주책맞게.토니 베넷 아저씨는 젊었을 적 목소리도 좋지만 나이가 좀 들어 깊이가 더해진 지금의 목소리가 더 좋다. 할아버지 돌아가시기 전 라이브로 한 번 꼭 보고싶다. 그리고 이 가슴뛰는 노래의 배경인 샌프란시스코도 꼭 가보고 싶다. 






#4. Everything Happens To Me by Thelonious Monk

재즈 피아노를 배우고 싶었을 때 처음 접했던 사람이 바로 그 위대한 셀로니어스 몽크다. 물론 내가 그의 연주를 따라칠 수준은 안됐으므로 악보만 보고도 금새 접었지. 껄껄. 셀로니어스 몽크 연주를 들으면 알겠지만, 다른 재즈 피아니스트들과는 그 느낌을 달리한다. 정말 헉- 소리가 나오는 전위적인 건반터치, 투박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둘 다 주고 있다. 나는 하나 또 유심히 본게 그의 페달 사용인데, 과하지 않게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같아 놀라웠다. 

연주만 듣고 이건 누구의 연주지? 하면서 맞추기 어려운게 피아노 연주인데, 그런면에서 셀로니어스 몽크가 재즈계에 한 획을 그은 이유는 음악을 들어보면 알 수 있다. 듣기만 해도 그의 피아노 연주라는 걸 바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그 독창성과 개성은 정말 시공을 초월한다.



김이 솔솔 나는 커피 한 잔 손에 들고 음악 들으면서 편히 쉬고 싶다. 오늘만큼은- 

Posted by shasha kim :